반응형

수입차 600

'차량 급발진 사고, 제조사가 입증하라'는 판결이 주는 의미

어제 자동차 소비자들에게는 매우 반가운 소식이 있었습니다. 급발진 사고와 관련하여 법원에서 제조사의 책임을 묻는 판결이 나왔는데요, 중요한 것은 '주행 중의 급발진 사고'에 대해서만 이러한 판결이 나왔다는 점입니다. '시동 직후의 급발진'에 대해서는 소비자가 원인을 입증하라는-즉, 소비자 책임이라는 대법원 판례가 있습니다. 이번 판결문에도 "주행중 발생한 사고로, 시동을 건 직후에 견주어 보아 운전자의 과실이 발생할 여지가 적다"고 나와있는 것을 보면, 아직까지도 '시동 직후의 급발진'만큼은 '소비자가 결함을 입증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나마 '주행 중의 급발진 사고'라도 제조사의 책임을 인정했다는데서 이번 1심 판례는 매우 뜻깊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전에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조명했던 한티역 ..

자동차/컬럼 2009.10.01

BMW 520d 스페셜 에디션 출시!

BMW의 디젤 중형세단 520d의 스페셜 에디션이 새롭게 출시된다고 합니다. M을 연상시키는 다이나믹 패키지가 추가되었다고 하는데요. 스타일과 경제성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전략인 것 같네요. BMW 코리아(대표 김효준)는 BMW의 베스트셀링 모델인 5 시리즈의 520d 스페셜 에디션을 새롭게 출시한다. 이번에 출시된 520d 스페셜 에디션은 기존 520d에 M 에어로 다이내믹 패키지를 접목시킨 모델로, BMW의 대표적인 비즈니스 세단인 5시리즈 특유의 고급스러움에 스포티한 느낌이 강조되어 기존의 고객뿐만 아니라 다이내믹한 드라이빙을 추구하는 젊은 층에게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 BMW 520d 스페셜 에디션은 M5를 연상시키는 공격적인 디자인의 앞/뒤 에이프런과 사이드 스커트 그리고 18인치 M ..

레인지로버,'사막 위의 롤스로이스'로 불리는 이유

'사막 위의 롤스로이스'라 불리는 가장 럭셔리한 SUV는 무엇일까요? 아마 자동차에 조금만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레인지로버’라는 답을 쉽게 얘기했을 것입니다. 레인지로버는 영국 랜드로버사의 플래그쉽 모델로 1970년 처음 등장했으며, 자동차 역사에 있어서 최초로 ‘SUV’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명차로 꼽힙니다. SUV라는 장르를 최초로 개척한 랜드로버 사실 ‘사막 위의 롤스로이스 = 레인지로버’의 의미를 제대로 알기 위해선 랜드로버사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데요. 랜드로버는 1946년 영국에서 윌크스 형제에 의해 로버자동차 라는 이름으로 처음 문을 열었는데, 1948년부터 영국 정부 요청으로 4륜구동 형식의 다목적 군용차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랜드로버라는 이름으로 민간 자동차 시장에 진출했고, 6..

자동차/컬럼 2009.10.01

[시승기] 볼보 오픈카 C70, 패밀리 컨버터블의 묘미

" 볼보는 너무 급이 떨어지죠 ^^ 오픈카이기만 할 뿐 내장이나 외양 디자인 역시 너무 수준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오픈카로써 C70에 대한 소개를 한다고 하니, 어떤 방문자분께서 위와 같은 댓글을 남겨주셨습니다. 글쎄요.. 분명 날카로운 지적일 수도 있지만, 어찌 보면 차를 보는 시각이나 추구하는 것이 달라 나온 얘기일 수도 있습니다. 오픈카를 타고 속칭 뽀대(!)나 가오(!)를, 또는 와일드한 드라이빙을 원하신다면 혹은 컨버터블은 무조건 스포티해야 한다고 생각하신다면, 그리고 연인과 함께 폼나는 주행을 생각하는 당신이라면 C70은 답이 아닙니다. 하지만 평소엔 세단처럼 편히 타고, 가끔은 만물이 생장하는 봄, 울긋불긋 화려함을 불태우는 가을, 그리고 하얀눈밭에서 오픈에어링을 즐기고 싶다면! 또 그..

곧 추석이네요. 주변을 돌아보는 여유 가지고 계십니까?

오늘은 좀 블로그 주제와 다른 얘기를 할까 합니다. 수입차와 상관없는 포스팅을 하는 것은 여행 이후로 거의 처음 있는 일인 듯 한데요.논쟁거리를 발생시키는 정치적 얘기도 아니고, 단순한 가십거리도 아닌 얘깁니다.어찌보면 중요하고, 어찌보면 아무것도 아닐 수 있는 얘기죠. 들어보실래요? 여러분의 꿈은 무엇인가요? 저는 두가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행복한 가정을 꾸려나가는 것과 또 하나는 더 나은 세상이 되는데 일조를 하는 꿈입니다. 그래서 후에 여건이 된다면, 자선사업도 꼭 해보고 싶은데, 특히 자선사업 중에서도 결손가정이나 환경에 의해 제약을 받는 아이들과 청소년들을 위해 투자하는 게 제꿈입니다. 경제적으로 불우한 환경 때문에 꿈을 접거나, 아예 꿈조차 꾸지 못한다는 건 정말 슬픈 일이잖아요. 사회는 원래..

일상들 2009.09.29

[시승기] 아우디 A5 스포츠쿠페를 만나다

아우디의 스포츠쿠페 A5 시승기 2편이 시작됩니다. 1편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관련포스트] 아우디 스포츠쿠페 A5 시승기 1편 A5는 시동을 걸면, 계기판이 웰컴 세레모니가 인상적입니다. 일부 수입차나 국산차에도 적용되어 있긴 한데, 사소한 것이긴 해도 탈 때마다 '이 차 범상치 않네' 하고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동음이 굉장히 조용하면서도, 파워는 느껴지죠. 일단 세단인 A4와 차이를 설명해달라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심지어 A4에서 도어만 2개인 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셨죠. 하지만, 이전 글에서도 설명했듯 실제로 보면, A4와 A5는 완전히 다른 차 입니다. 실루엣도 사실 폭넓고 낮은 차체로 인해 R8과 비슷합니다. 때문에 A4보다 물리적으로 뛰어난 운동성능을 느낄 수 있습니다. ..

SUV와 세단의 장점을 고루 갖춘 차? 볼보 XC70

정말 오랜만의 포스팅이죠? 벌써 9월 21일! 개인적으로 이번 9월은 정말 쏜살같이 흐른 것 같습니다. 많은 일들이 있었는데요, 그 중 2세의 출산 소식이 압권이었죠.^^ 덕분에 환상적인 모델이 많이 선보인 2009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는 못 가게 되었습니다만, 2세를 보는 것만으로 그 아쉬움을 충분히 달랠 수 있었습니다. 자, 오늘 모처럼 소개해 드릴 차량은 특이합니다. 세단에 이어, SUV 그리고 쿠페까지 만드는 국산차 메이커긴 하지만, 아직 시도하지 못한 스타일의 차지요. 바로 크로스컨트리 차량인데요, 이름도 생소한 크로스컨트리 차량의 주인공은... 볼보의 XC70입니다. 크로스컨트리 모델의 장점은 SUV와 세단의 장점을 고루 갖췄다는 겁니다. SUV의 최대 장점은 무엇일까요? 뭐니뭐니해도 넓은 실..

하이브리드카의 대명사, 프리우스의 인기 비밀

하이브리드카의 대명사 프리우스가 곧 출시되죠? 우리에겐 아직도 개념도 모호하고, 실체조차 확인하기 힘든 하이브리드카 이지만, 프리우스는 이미 전세계 44개국에서 170만대 이상 판매가 되었습니다. 더군다나, 현재 전세계 하이브리드 차량의 80%가 토요타 하이브리드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기름값에 쿨(!)하게 대처하며, 큰 차, 힘 쎈 차를 선호하는 미국에서 프리우스는 대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첨단'과 '친환경'을 무기로 내세웠기 때문이죠.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헐리웃의 탑스타들도 그들의 '럭셔리'카를 던져버리고, 프리우스를 선택했습니다. 그게 누구냐고요? 우선, 반지의 제왕에서 뭇여성들의 가슴을 훈훈하게 만들었던 올랜도 볼룸!! 이분의 이름은 모르겠지만,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에 나왔었죠..

자동차/컬럼 2009.09.02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카, 차이점을 아세요?

'하이브리드나 전기차나 같은거 아냐?' 어떤 분이 물어보시더군요. 반은 맞고, 반은 맞습니다. 무슨 뜻이냐고요? 하이브리드나 전기차나 차세대 대체 자동차 엔진으로 떠오른다는 점에서는 동일합니다. 하지만, 두 시스템 간 차이는 확연하죠. 하나는 전기의 힘만으로 달리는 것이고, 하이브리드는 말그대로 혼종, 전기모터와 내연기관을 동시에 이용합니다. 혹자는 하이브리드 엔진이 궁극적으로 전기차로 가기 전의, 과도기적 엔진이라고 폄하하기도 합니다. 결국 그 쓰임이 시대적으로 한정적이라는 얘길텐데요, 글쎄요.. 제생각은 좀 다릅니다. 그 언젠가 석유가 바닥나겠지만 그게 정말 가까운 시기일지에 대해서는 의문이고요, 게다가 계속적으로 연료효율도 좋아지는 까닭에 그 예측시기도 점차 늦어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대체연료, 예..

자동차/컬럼 2009.08.26

2009년 국내 최고 인기의 수입차는?

최근 잘 나가는 수입차 모델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여러분도 한번 떠올려 보시죠. 최근 도로 위에서 가장 많이 본 수입차는 무엇이였는지 말이죠. 어떤 차종이 떠오르시나요? 2009년 현재까지 가장 많이 팔린 차종은 거의 대부분 중형세단이었습니다. 대형 세단으로는 BMW 740이 유일했죠. 또 가장 많이 팔린 차종들의가격대는 거의가 4천만원 이상이었습니다. 말그대로 국산차와 수입차 간 가격 경계 부근에 있는 차량 많이 팔린 것인데요.. 불과 1~2년전만해도 5~6000만원대 수입차가 가장 많이 팔린 것을 생각한다면, 수입차 대중화가 한층 진행된 셈입니다. 이는 수입차의 차량가도 낮아진 것과 더불어 국산차의 가격도 높아지면서, 중산층이 더욱 다양해진 선택지로 옮겨간 효과가 아닐까 하..

반응형